MY MENU

신.재생-연료

신.재생에너지는 화석에너지의 고갈문제와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깨끗한 에너지로 평가 받고 있다. 기후변화협약 등으로 그 중요성이 재인식 되었고, 차세대 가장 중요한 성장동력의 하나로 주목 받고 있다.

신.재생에너지는 “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, 이용, 보급 촉진법” 제 2조에 의거하여 기존의 화석 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, 물, 지열, 강수,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를 말하며, 신.재생에너지는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합해서 지칭하는 용어로 수소, 연료전지, 석탄액화가스 등 3종의 신 에너지와 태양열, 태양광, 바이오 에너지, 풍력, 수력, 지열, 해양, 폐기물 등 8종의 재생에너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.

신.재생연료는 신.재생 에너지군에서 폐기물에너지입니다. 사업장 또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폐기물 중 에너지 함량이 높은 폐기물을 열분해에 의한 오일화 기술, 성형고체연료의 제조기술, 가스화에 의한 가연 성 가스 제조기술 및 소각에 의한 열 회수기술 등의 가공처리 방법을 통해 연료를 생산 합니다.

내부이미지

신.재생연료의 발열량은 9,200Kcal/kg이며, 공급가격은 Ton당 55,000원이다.

신.재생연료는 기존에 단순 소각 또는 매립하던 페합성수지, 폐고무, 폐목재 등을 수송성과 저장성, 연소안정성을 향상시켜 석탄 열량 (4,000∼5,000㎉/㎏)과 유사한 수준으로 자원화한 것이다. 코르크나 펠릿 형태로 제작돼 화력발전소 등의 보조연료로 사용되는 신.재생에너지 입니다.

신.재생연료는 발열량이 높은 쓰레기로 이루어져 불에 태울 때 고른 화력을 발생시키므로 전용발전소, 산업용 보일러 등에서 다양하게 이용되며, 지역 난방회사에서 연료로 사용하여, 일반 가정의 난방열 을 공급하기도 합니다.

신.재생연료를 연료로 사용하는 자는 「잔류성 유기오염 물질 관리법 시행규칙」 별표3 제4호 가목 2)에 따른 소각시설 다이옥신 배출기준 이내(처리능력이 시간당 2톤 이상인 시설은 0.1ng-TEQ/S㎥, 처리능력이 시간당 2톤 미만인 시설은 5ng-TEQ/S㎥)로 유지, 관리토록 하는 규정이 마련되어 있습니다./app/dubu_sourcecode/docs/imgs/1513846449_image.png